검색결과

  • 총 게시물 수 : 2
  • 현재 페이지 : 1/1
정렬기준
출력건수
인쇄하기
검색결과 좁히기
  • 정부간행물 온라인 자료
    분리막을 조합한 하수고도처리 공정 개발. 1차년도/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[편]
    • 저자

      서인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

    • 발행처

      대전 :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, 2003

    • 발행연도

      2003

    • 간략보기 : 표제/책임표시사항, 출처정보, 행태정보, 분류기호, 자료이용안내로 구성
      표제/책임표시사항 분리막을 조합한 하수고도처리 공정 개발. 1차년도/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[편] / 서인석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
      출처정보 tjk  |  대전 :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, 2003  |  2003  |  단행본
      형태정보 전자책  |  PDF  |  xvii, 159p.: 삽도; 30cm
    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-> 539.35
      자료이용안내 이용 제한이 없습니다.
    목차
    제출문 = ⅰ
    요약문 = ⅲ
    목차 = xi
    표목차 = xiv
    그림목차 = xv
    제1장 서론 = 1
    1.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= 3
    1.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= 4
    1.3 연구 수행방법 = 5
    제2장 국내 하수처리 현황 및 문제점 = 7
    2.1 서론 = 9
    2.2 국내 하수처리장 운영현황 = 10
    2.3 중·소규모 하수처리시설 관리현황 = 14
    2.3.1 중·소규모 처리시설의 필요성 = 14
    2.3.2 중·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개선방안 = 17
    제3장 국내·외 하수고도처리공정 연구 및 개발현황 = 19
    3.1 서론 = 21
    3.2 Steady-state 공정 개발현황 = 22
    3.2.1 인(phosphorus) 제거 공정 = 22
    3.2.2 질소(Nitrogen) 제거공정 = 24
    3.2.3 질소·인 동시제거 공정 = 26
    3.3 Dynamic state 공정 개발현황 = 28
    3.3.1 연속흐름 공정 = 28
    3.3.2 국내·외 SBR 공정의 개발 및 적용현황 = 33
    가. SBR 공정의 특징 = 34
    나. 국외 SBR 공정의 개발 및 적용현황 = 35
    다. 국내 SBR 공정 개발현황 = 37
    라. 주요 SBR 공정의 기술적 특성 = 38
    3.4 MBR(Membrane Bio-reactor)공정 개발현황 = 42
    3.4.1 막분리 기술의 분류 = 42
    가. MBR의 발전단계별 분류 = 44
    나. 여과방식에 따른 MBR 공정의 분류 = 45
    3.4.2 MBR 공정의 연구 및 개발현황 = 48
    가. 상용화된 MBR 공정 적용현황 = 48
    나. 고도처리 MBR 공정개발현황 = 52
    3.4.3 각국의 MBR 공정의 적용현황 = 55
    가. 일본 = 55
    나. 독일 = 56
    다. 벨기에 = 56
    라. 영국 = 57
    마. 오스트리아, 스위스 = 57
    바. 미국, 캐나다 = 58
    3.4.4 상용화된 국내 MBR 공정 = 58
    가. 한국분리막 = 59
    나. HANT 공법 = 61
    다. 제닉스엔지니어링 MBR 공정 = 61
    라. 퓨어엔비텍(주) = 62
    제4장 연속유입식 SBR 공정 및 MBR 공정의 개발 = 65
    4.1 공정개발의 필요성 = 67
    4.2 개발공정의 특징 = 68
    4.2.1 SBR(Sequencing Batch Reactor) = 68
    4.2.2 MBR(Membrane Bio-reactor) = 69
    4.3 개발공정의 운영방법 = 70
    4.3.1 SBR(Sequencing Batch Reactor) = 70
    4.3.2 MBR(Membrane Bio-reactor) = 71
    4.4 기존 기술과의 비교 = 72
    제5장 교대연속유입 SBR 공정의 현장운영 = 77
    5.1 서론 = 79
    5.2 실험재료 및 방법 = 80
    5.2.1 처리대상 마을 현황 = 80
    5.2.2 유입수 특성 = 81
    5.2.3 연속유입식 SBR 반응조 운영 = 82
    5.3 결과 및 고찰 = 86
    5.3.1 유기물, 질소 및 인 제거특성 = 86
    5.3.2 C/N비에 따른 제거효율 = 93
    5.3.3 ORP의 변화특성 = 95
    제6장 교대연속유입 형태의 MBR 조합공정 현장운영 = 103
    6.1 서론 = 105
    6.2 실험장치 및 방법 = 106
    6.2.1 유입수의 특성 = 106
    6.2.2 MBR 공정 및 운영방법 = 107
    6.2.3 측정항목 분석 = 111
    6.3 결과 및 고찰 = 111
    6.3.1 MLSS, COD, T-N, T-P 변화 = 111
    6.3.2 C/N비에 따른 제거효율 = 118
    6.3.3 반응조 내의 변화특성 = 120
    제7장 MBR 공정 pilot plant 설계 = 131
    7.1 Pilot plant의 반응조 설계 = 133
    7.2 Pilot plant 운영방법 = 137
    제8장 결론 = 141
    참고문헌 = 149
  • 정부간행물 온라인 자료
    하수처리장 DO, MLSS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. 2차년도/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[편]
    • 저자

      김병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

    • 발행처

      대전 :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, 2003

    • 발행연도

      2003

    • 간략보기 : 표제/책임표시사항, 출처정보, 행태정보, 분류기호, 자료이용안내로 구성
      표제/책임표시사항 하수처리장 DO, MLSS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. 2차년도/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[편] / 김병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
      출처정보 tjk  |  대전 :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, 2003  |  2003  |  단행본
      형태정보 전자책  |  PDF  |  xxiii, 271p.: 삽도; 30cm
     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-> 539.3
      자료이용안내 이용 제한이 없습니다.
    목차
    제출문 = ⅰ
    요약문 = ⅲ
    목차 = xiii
    표목차 = xvii
    그림목차 = xix
    제1장 서론 = 1
    1.1 연구의 목적 및 배경 = 3
    1.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= 4
    1.3 연구 수행방법 = 5
  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= 7
    2.1 생물학적 하·폐수처리 공정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 센서 = 9
    2.1.1 기기분석법의 자동화 = 10
    2.1.2 미생물(MLSS)/부유물질(SS) 농도 측정 = 12
    2.1.3 침전조에서의 슬러지 침전특성 측정 = 13
    2.1.4 생물학적 하·폐수처리 시스템에서의 바이오센서 = 15
    2.1.5 광학센서 = 19
    2.1.6 Software sensor = 20
    2.2 하수처리 공정에서 DO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 = 21
    2.2.1 DO 농도 제어의 필요성 = 21
    2.2.2 DO 농도 제어원리 및 알고리즘 = 22
    2.3 하수처리 공정에서 MLSS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 = 23
    2.3.1 MLSS 농도 제어의 필요성 = 23
    2.3.2 MLSS 농도 제어원리 및 알고리즘 = 23
    2.4 하수처리 공정에서 미생물 호흡율에 의한 모니터링 및 제어 = 26
    2.4.1 호흡율의 정의 = 26
    2.4.2 연속호흡기를 이용한 호흡율의 측정 = 26
    2.4.3 다양한 호흡율의 측정 = 29
    2.4.4 호흡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= 31
    2.4.5 호흡기를 이용한 기존의 연구 동향 = 36
    2.4.6 연속호흡기를 이용한 공정제어 가능성 검토 = 38
    2.5 하수 고도처리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 = 40
    2.5.1 pH 및 산화환원전위차(ORP)를 이용한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정 모니터링 = 40
    2.5.2 생물학적 질소제거 공정에서 ORP의 적용성 평가 = 45
    2.6 댐 상류 하수처리장 통합관리 방안 = 49
    2.6.1 통합 운영관리의 필요성 = 49
    2.6.2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기본방향 = 52
    2.6.3 통합관리시스템 구성방안 = 54
    2.6.4 운영관리 계획 = 63
    2.6.5 자동화 수준 검토 = 63
    제3장 실규모 하수처리장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구축 = 65
    3.1 대청댐 시범하수처리시설(KSDe$$N^{TM}$$ process) 소개 및 영양염류 제거 특성 = 67
    3.1.1 대청댐 시범 하수처리시설 소개 = 67
    3.1.2 KSDe$$N^{TM}$$ 공정의 특징 = 69
    3.1.3 KSDe$$N^{TM}$$ 공정별 기능 및 주요설비 = 72
    3.1.4 KSDe$$N^{TM}$$ 공정 운전성능 평가 = 77
    3.2 KSDe$$N^{TM}$$ 공정에 의한 질소, 인 제거에 있어서 수온, C/N 비 및 C/P 비의 영향 = 88
    3.2.1 서론 = 88
    3.2.2 실험장치 및 방법 = 89
    3.2.3 결과 및 고찰 = 90
    3.2.4 결론 = 99
    3.3 KSDe$$N^{TM}$$ 공정에서 C/P 비, SRT, 온도 및 질산염 농도가 인 제거에 미치는 영향 = 101
    3.3.1 서론 = 101
    3.3.2 실험재료 및 방법 = 102
    3.3.3 결과 및 고찰 = 103
    3.3.4 결론 = 110
    3.4 하수처리장 제어시스템 구축 현황 = 112
    3.4.1 개요 = 112
    3.4.2 MMI(MAN MACHINE INTERFACE) = 113
    3.4.3 원거리 MMI = 128
    3.4.4 I/O SUMMARY = 129
    3.4.5 전기도면 = 134
    제4장 연속식 하수 고도처리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개발 = 141
    4.1 연속식 하수 고도처리 공정에서 DO 및 MLSS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성 평가 = 143
    4.1.1 MLSS meter 측정값 및 MISS 실측값의 상관도 평가 = 143
    4.1.2 MLSS 농도 제어 가능성 평가 = 145
    4.2 대청댐 시범 하수처리시설 원격감시제어시스템에서 DO 및 MLSS 농도 모니터링 및 제어 가능성 평가 = 147
    4.2.1 반응조 수심별, 위치별 DO, MLSS 농도 분포 = 147
    4.2.2 MLSS meter 측정값 및 실측값과의 상관도 평가 = 151
    4.2.3 슬러지 반송유량에 따른 MLSS 농도 제어 가능성 평가 = 155
    4.2.4 폐슬러지 인발시간에 따른 MLSS 농도 제어 가능성 평가 = 158
    4.2.5 DO 농도 제어 가능성 평가 = 162
    4.3 간헐폭기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 = 165
    4.3.1 Bench 및 pilot scale 간헐폭기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 = 166
    4.3.2 실공정 간헐폭기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 = 180
    4.4 유로변경형 간헐폭기 공정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 = 188
    4.4.1 서론 = 188
    4.4.2 이론적 고찰 = 188
    4.4.3 실험장치 및 방법 = 195
    4.4.4 결과 및 고찰 = 199
    4.4.5 반응조 내 거동 관찰을 위한 Track Study = 208
    4.4.6 결론 = 213
    제5장 회분식 하수 고도처리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개발 = 215
    5.1 국내외 SBR 공정 개발 현황 = 217
    5.1.1 SBR(Sequencing Batch Reactor) 공정의 특징 = 217
    5.1.2 실용화된 SBR 기술 = 218
    5.2 Dynamic SBR 공정 개발 및 모니터링 적용성 평가 = 224
    5.2.1 Dynamic SBR 공정의 특징 = 224
    5.2.2 실험 및 운전 방법 = 227
    5.2.3 Dynamic SBR 공정처리 효율 및 모니터링 가능성 평가 = 229
    5.3 Modified SBR 공정 모니터링 적용성 평가 = 247
    5.3.1 실험재료 및 방법 = 247
    5.3.2 결과 및 고찰 = 249
    제6장 결론 = 253
    참고문헌 = 262